본문 바로가기
건강/식품영양 정보

꿀 사과의 단점, 꼭 알고 드세요. 사과의 하얀반점은 당도를 나타냅니다. (사과에 대한 상식)

by Eunice2020 2021. 11. 29.
반응형

사과를 썰었는데, 가운데 씨 있는 부분이 반투명하게 보이는 '꿀사과'라면? 너무 기분이 좋지요. 그런데 정말 꿀이 들어있어서 단맛이 나는 것일까요? 꿀 사과는 품종이 따로 있는 걸까요? 영양성분은 어떨까요? 이런 궁금증 때문에 인터넛을 검색하고 있으시다면 이 글이 도움이 되실 거예요.

 

 

 

1. 꿀 사과에는 꿀이 들어 있나요?

아닙니다.

꿀은 아니고 '소르비톨(솔비톨)'이라고 불리는 '당알코올'입니다.

반으로_자른_꿀_사과
꿀 사과

소르비톨은 사과에 함유된 포도당이 환원되어 생기며, 식품첨가제로도 자주 사용되는 성분입니다. 특히 무설탕껌에 자주 사용되며 설탕보다 단맛이 적고 칼로리도 낮습니다. 

 

2. 소르비톨은 원래 사과에 있는 당분인가요?

일반적인 사과에는 소르비톨이 함유되어 있지 않지만, 다음과 같은 환경조건에서 생성될 수 있습니다.

▶일교차가 심할 때

▶수확 시기가 늦어 과실이 지나치게 익었을 때 

 

즉, 야간온도가 낮아서 일교차가 심하거나 수확시기를 놓쳐 사과가 너무 익었을 때 소르비톨이 생성되는것이랍니다. 

그리고 이렇게 솔비톨이 생성되는 현상을 ‘밀 증상(蜜症狀)’ 또는 ‘밀병’이라고 부릅니다. 즉, 농업에서는 꿀이든 사과를 반갑게 여기는 것이 아니라 사과의 '생리 장애, 질병'이라고 본답니다. 

 

3. 그럼 꿀 사과는 먹으면 안 되나요?

앞서 말씀드렸지만 소르비톨은 식품첨가물로도 사용될 만큼 우리가 먹어도 상관없는 성분이며, 자연적으로도 만들어지는 물질입니다. 따라서 먹는 것은 전혀 문제가 없습니다.

 

하지만 아래와 같은 문제점이 있습니다.

▶사과의 아삭 거리는 식감이 줄어듭니다.

소르비톨이 들어있는 부분이 달기는 하나 푸석 해질 수도 있습니다. 사과는 맛도 중요하지만 식감도 중요하니까요.

▶저장기간이 짧아집니다. 

사과는 박스채로 살 때도 많습니다. 따라서 오랫동안 보관하면서 먹어야 하는데, 꿀사과는 다른 과일에 비해 저장기간이 짧습니다. 일반 사과보다 더 빨리 사과 내부가 갈변되며 물러지게 된답니다.

4. 꿀 사과는 정말 다른 사과보다 당도가 높나요?

 

아닙니다. 

솔비톨이 있는 부분이 달게 느껴지긴 하지만, 실제로는 일반 사과와 당도는 큰 차이가 없다고 합니다.

그 이유는 당도를 재는 방식 때문인데요. 대부분 당도를 측정할 때, 사과의 특정 부위를 측정하는 것이 아니라 사과의 즙을 내어 당도를 잽니다. 물론 꿀사과의 솔비톨이 있는 부분은 당도가 상대적으로 높지만, 다른 부위는 그렇지 않기 때문에 결국 평균적으로 보면 다른사과와 큰 차이가 없는 것이지요.

 

5. 다른 과일에도 솔비톨이 생길 수 있나요?

 

네, 우리가 자주 먹는 '배'에도 솔비톨이 생기는 '밀 증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배 가운데가 반투명하게 꿀처럼 보인다면 버리지 마시고 그냥 드셔도 된답니다.

 

6. 꿀사과인지 아닌지 알아보는 방법이 있나요?

 

아쉽게도 겉으로 봐서 확인하는 방법은 없답니다.

 

7. 하얀 반점이 있는 사과는 먹어도 되나요?

 

네, 맛있는 사과라는 증거이므로 마음껏 드셔도 됩니다.

아래 사진처럼 사과에 하얀 반점들이 많다면 당도가 높은 사과입니다.

 

★함께 읽으면 좋은 글

간단하지만 확실한 사과, 배 보관 법!

 

간단하지만 확실한 사과, 배 보관 법!

사과과 배의 계절이 돌아왔습니다. 그런데 보통 박스채로 사거나 선물을 받기 때문에 오랫동안 신선하고 맛있게 먹으려면 보관법이 매우 중요합니다. 잘못 보관하면 수분이 빠져나가 푸석푸석

eunicejojo.tistory.com

 

멍든 사과 먹어도 되나요?

 

멍든 채소나 과일을 먹어도 되나요? (사과, 감자, 감자튀김)

많은 채소나 과일들은 조직이 연해서 부딪히면 쉽게 멍이 드는데요. 사과나 감자도 예외는 아닙니다. 그런데 가장 고민이 되는 것은 '이런 사과나 감자를 먹어도 될까요?'입니다. 그에 대한 답을

eunicejojo.tistory.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