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산물을 먹을 때 걱정되는 것들이 많습니다. 수은, 방사능 노출에 이어 '미세플라스틱' 까지. 특히 아이들을 키우는 엄마라면 그 걱정이 더 커지게 됩니다. 육류 섭취를 많이 하면 암에 걸릴 확률이 높아진다고 하고, 그 대안으로 선택한 생선에도 인체에 해로운 물질들이 함유되어 있다고 하니 도대체 식탁에 무엇을 올려야 할지 걱정이 됩니다. 하지만 사실 해산물에만 미세플라스틱이 있는 것이 아니라고 합니다. 우리가 먹는 식수, 티백(차), 생수병, 소금, 맥주 등 다양한 경로를 통해서도 노출이 된다고 하는데요. 오늘은 미세플라스틱에 대한 전반적인 상식과 조금이라도 섭취를 줄이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니 끝까지 읽어주세요.
1. 미세플라스틱이란?
'미세'라고 하는 단어는 매우 작다는 뜻이지요. 따라서 미세플라스틱은 5mm이하의 작은 플라스틱 입자를 의미합니다.
▶더 세부적으로 보자면
1) 1차 미세플라스틱 : 치약이나 각질제거제에 함유된 원래부터 입자가 5mm이하인 플라스틱
2) 2차 미세플라스틱 : 원래 만들어질 때는 큰 플라스틱이었지만, 마모 되면서 5mm이하로 된 플라스틱
3) 나노 미세플라스틱 : 크기가 100nm(나노미터) 미만으로 매우 작은 미세플라스틱
▶미세플라스틱은 주로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 및 폴리스티렌(PS) 등입니다.
2. 어떻게 만들어지나요?
1) 플라스틱이 자연적으로 또는 인위적으로 분해된 경우
2) 원래 미세하게 만들어진 경우
3. 미세플라스틱은 어떻게 사람이 섭취하게 되나요?
제일 문제가 되는 것은 지표 유출수나 산업 폐수인데요. 여기에 함유된 미세플라스틱은 매우 작아서 폐수처리과정에서 제거가 되지 않기 때문에, 특히 마시는 물뿐 아니라, 물을 먹고살고 있는 생물(물고기, 식물)들에게 오염됩니다.
이렇게 미세플라스틱에 오염된 물이나 생물들을 인간들이 먹게 되면서 인체에 미세플라스틱이 침투하게 됩니다.
미세플라스틱의 크기는 '참깨'보다 작기 때문에 호흡을 통해서도 우리 몸에 들어온다고 하는데요. 따라서 위장뿐 아니라 폐에서도 미세플라스틱이 존재한다고 하니 걱정을 안할수가 없네요.
4. 미세플라스틱이 함유된 식품에는 어떤 것들이 있나요?
패류(굴, 조개류), 갑각류(게, 새우, 랍스터 등), 멸치, 천일염, 생선, 생수병에 든 물, 식수, 맥주 등등
그리고 미세플라스틱이 함유된 치약으로 이를 닦는데 중에도 인체에 흡수될 수 있습니다.
주로 헤산 물을 통한 미세플라스틱의 양이 많을 거라고 생각하지만, 실상은 물을 통해 섭취되는 양이 더 많으며, 우리가 매일 섭취하는 소금을 통해서도 먹게 된다고 하니, 사실상 미세플라스틱은 피할 수가 다고 보면 되겠습니다.
그리고 오염된 식품이나 물을 피한다고 해서 미세 플라스틱으로부터 자유로워질 수 있는 건 아닙니다.
미세플라스틱은 플라스틱으로 만든 그릇, 컵, 숟가락, 젖병 등을 통해서도 노출될 수 있습니다. 특히 가장 약한 어린 아기들에게 젖병을 사용을 통해 섭취하게 된다고 하니 6개월 아기를 키우는 엄마로서 걱정이 앞섭니다.
(그래서 저는 유리 젖병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
5. 미세플라스틱의 위험성
아직 미세플라스틱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은 '연구 중'입니다. 즉, 아직은 충분한 데이터가 없어서 '영향을 알 수 없다'입니다.
하지만, 플라스틱을 만들 때 사용되는 화학물질들은 환경호르몬으로써 인체에 해를 끼치게 때문에 미세플라스틱 자체도 분명 인간에게 어떤 식으로든 문제를 일으킬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아직 결론은 나지 않았지만, 현재까지 과학자들이 연구한 미세플라스틱의 위험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플라스틱의 일부 화학 성분이 암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다고 합니다.
2) 캐나다 맥길대학교 연구팀이 차를 우리는 티백에서 나온 미세 플라스틱을 물벼룩이 사는 물에 넣었더니물벼룩의 모양이 변형되거나, 수영을 이상하게 하는 등의 증세를 보였다고 합니다.
3) 스코틀랜드 네이퍼 주립대학의 연구팀에 따르면, 미세 플라스틱이 '폐 세포'에 염증성 화학물질을 생성하는 것을 발견했다고 합니다.
6. 미세플라스틱 섭취를 줄이는 현실적인 방법
1) 수산물을 먹을 때
조개류는 해감만 잘해도 미세플라스틱이 90% 이상 제거된다고 합니다. 실제로, 바지락을 소금물에 30분 동안 해감했더니 미세플라스틱이 90% 이상 제거된다고 하니 기억해주세요.
그리고 미세플라스틱은 주로 바다생물의 소화기관에 축적되어 있으므로, 내장을 제거하고 먹도록 합니다.
2) 플라스틱 제품의 사용을 최소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그릇, 숟가락, 젓가락, 컵 등의 사용을 줄이도록 해야 합니다. 그리고 특히 플라스틱 제품에 뜨거운 식품을 담지 않도록 합니다.
3) 소금 섭취량 줄이기
소금은 고혈압을 비롯한 심혈관질환 예방을 위해서, 미세플라스틱의 섭취를 줄이기 위해서도 적게 먹는 것이 중요합니다.
★함께 읽으면 좋은 글
우리아이, 환경호르몬에 많이 노출되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요?
댓글